[GAM] 배당투자, 왜 지금이 적기인가②
컨텐츠 정보
- 260 조회
- 7 추천
- 목록
본문
이 기사는 10월 21일 오후 4시2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오상용 글로벌경제 전문기자 = *①편 기사에서 이어집니다
4. 배당주로 분산 필요성
배당주의 부활은 기술주를 중심으로 높아진 가격 부담과 무관하지 않다.
주식투자 정보업체 시킹알파에 따르면 매그니피센트 7개 종목의 (12개월 예상 순익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42배를 웃돌고 있다. 테슬라의 경우 최근 주가 조정에도 멀티플이 96배에 달한다. 시장 전체의 밸류에이션도 부풀었다. 10월18일 기준 S&P500의 (12개월 예상 순익 기준) PER은 22.2배다. 3개월 평균치는 22.37배로 과거 10년 평균치(19.95배)와 25년 평균치(16.75배)를 크게 웃돌고 있다.
이처럼 가격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는 작은 충격에도 가격이 출렁거릴 위험이 높아진다. 호재보다 악재에 민감해지기 쉽다.
`굿 라이프 파이낸셜 어드바이저(Good Life Financial Advisors)의 설립자이자 대표인 조쉬 스트레인지는 지난 9월 배당주 ETF 로 자금유입이 급증한 것과 관련해 "배당주의 부활은 중앙은행들의 금융정책 선회뿐만 아니라 기술주 진영과 증시 전반의 가격 부담 확대(밸류에이션 상승)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을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S&P500은 점점 더 소수 기업, 특히 AI 테마에 집중되고 있다"며 "이러한 주식은 거품이 많아 보인다"고 했다.
S&P 500의 12개월 FWD 주가수익비율(PER) 추이 [사진=macromicro] |
뉴욕 증시가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는 동안에도 주식시장의 변동성 지수(VIX)는 높은 레벨에 머물러 있다. 8월초 엔캐리 청산 우려가 시장을 지배하던 무렵, 38을 넘어섰던 VIX는 지난주말(10월18일) 18.03으로 하락했지만 그 절대 수준은 5~6월(11~13)보다 두어 레벨 높다.
시장이 좀처럼 긴장을 끈을 놓치 못하는 배경 중 하나는 보름 앞으로 다가온 미국의 대통령 선거다.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후보(현 부통령)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전 대통령)의 전국 지지율은 오차 범위내 엎치락 뒤치락을 반복하고 있다. 당락을 좌우할 경합주 내 판세도 팽팽하다. 막판까지 승자를 점치기 힘든 박빙의 승부다.
누가 백악관의 주인이 되느냐에 따라 세금과 재정정책, 산업·에너지 정책, 무역정책과 대외정책의 색깔이 선명하게 나뉘기에 뉴욕증시는 물론이고 글로벌 자본시장 전체가 숨 죽여 지켜보고 있다. 우량 배당주는 (시장 금리의 방향 전환에 따른) 중장기 투자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불확실성을 피하고 싶은 투자자들에게 피난처가 될 수 있다.
뉴욕증시 변동성지수(VIX) 추이 [사진=koyfin] |
5. 배당 성장주를 주목하는 이유
단순히 배당수익률만 높다 해서 유망한 배당주는 아니다. 배당수익률은 배당이 늘어날 때도 상승하지만 주가가 하락할 때도 높아진다. 따라서 반드시 살펴야하는 게 배당 인상 추이와 향후 지속성이다. 기업이 배당을 얼마나 꾸준하게 늘려나가고 있는지, 경쟁사 대비 그 속도가 어느 정도인지 따져야 한다.
매출과 순익 감소로 주가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배당수익률만 높아진 종목은 쭉정이가 되기 쉽다. 현금 사정이 나빠져 예기치 않게 배당을 중단거나 배당금을 삭감할 수 있어서다. 그래서 월가의 투자은행들이 자주 권하는 것이 꾸준한 배당 인상 능력을 겸비한 배당 성장주다.
배당 성장주는 말 그대로 배당을 매년 일정 수준 늘려나가는 기업이다. 이를 위해선 회사의 수익성과 현금창출(FCF) 능력이 단단해야 한다. 한 두 해 정도가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그러한 추세를 보이는 기업은 안정적인 매출 성장과 순익 증가 덕분에 주가도 장기적으로 상승 곡선을 그린다. 외풍에도 상대적으로 강하다.
*월가에서는 이러한 기업을 칭하는 용어가 따로 있을 정도다. 50년 연속 배당금을 인상하는 기업을 배당킹(Dividend Kings), 25년 연속 그러한 기업을 배당귀족(Dividend Aristocrats)이라 부른다.
당장의 배당수익률이 높지 않더라도 꾸준히 배당을 늘려왔고 앞으로도 그러할 잠재력을 갖춘 기업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아래 차트는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유명한 `슈왑 미국 배당주 ETF(티커: SCHD)`의 토탈리턴 추이다. SCHD는 미국의 대형 우량주 중에서도 배당 성장이 우수한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올 들어 SCHD의 수익률은 16.66%로 시장 평균(S&P500지수의 23%)을 밑돌고 있다. 그러나 시간축을 과거 10년 혹은 SCHD의 설립 연도인 2011년 10월 이후로 연장하면 시장 평균을 웃도는 SCHD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2011년 10월 이후 SCHD와 S&P500지수의 토탈리턴 추이 [사진=koyfin] |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배당주가 다시 주목을 받고 있지만 투자자들은 배당이 꾸준히 늘어나는 우량 기업을 매수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배당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수 있는 펀더멘털(견조한 순익 성장세와 잉여현금 창출력)을 갖췄는지 따져보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골드만은 자사 애널리스트들이 `매수` 의견을 부여한 종목 가운데 배당수익률이 2% 이상이면서 2024년부터 2026년까지 배당금 인상률 추정치가 연평균 5%를 넘는 한편, 잉여현금흐름 창출 기준(FCF/EPS 추정치가 연평균 5% 이상 성장) 등을 충족한 종목을 선별해 제시하기도 했다.
여기에는 베스트 바이(BB)와 시티그룹(C) 아메리칸 홈즈 4 렌트(AMH), 램 웨스턴 홀딩스(LW) 암젠(AMGN) 머크(MRK) 셰브론(CVS) 등이 포함됐다.
페이서 ETF의 대표인 션 오하라의 경우 "높은 배당금 지급(높은 배당수익률)을 찾아 헤매면 상충관계(trade-off)에 놓이게 된다"며 "사람들은 성장을 하면서 배당금도 늘려나갈 능력을 갖춘 주식을 소유하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고배당주 가운데서도 펀더멘털이 나빠지는 종목을 솎아내기 위해 페이서는 지난 2016년부터 잉여현금흐름이 우수한 종목들로 구성된 `ETF(Pacer US Cash Cows 100 ETF, 티커 : COWZ)`를 출시해 운용중이다. 올 들어 해당 ETF로는 71억달러가 순유입됐다.
osy75@newspim.com
관련자료
-
이전
-
다음